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7.01 10:38 수정 : 2019.09.06 17:52

대서양 해상에서 기다리고 있던 배 그물 위로 안착한 페어링. 웹 방송 화면

로켓 탑재 우주선 보호하는 덮개
4번 실패끝 5번째 시도에서 성공
로켓 회수-재활용 새 이정표 세워
발사비용 600만달러 줄일 수 있어

대서양 해상에서 기다리고 있던 배 그물 위로 안착한 페어링. 웹 방송 화면
로켓의 재활용은 우주여행을 대중화하는 데 가장 큰 열쇠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로켓 발사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재활용을 위해선 먼저 로켓을 손상없이 회수해야 한다. 미국의 민간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엑스는 이 부문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확보했다. 지금까지 실시한 79차례 로켓 발사 중 41차례 발사에서 1단 로켓을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달 25일(현지시각) 있었던 팰컨헤비 로켓 발사에서 스페이스엑스가 로켓 회수-재활용에서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 지금까지 실패를 거듭했던 페어링 회수에 마침내 성공한 것. 2017년 이후 4번의 실패 끝에 얻은 4전5기의 값진 성과다.

페어링 회수 연습 장면. 스페이스엑스 트위터
페어링이란 로켓 위에 탑재한 우주선이나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를 말한다. 이번에 회수한 것은 페어링 두 쪽 전부가 아닌 하나이지만, 로켓 회수-재활용 기술에서 한 발을 더 내디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날 페어링을 회수한 선박은 ‘고 미즈 트리'(GO Ms. Tree)라는 이름의 배로, 이 배에는 낙하하는 페어링을 잡아챌 수 있는 커다란 그물망이 달려 있다.

두 쪽으로 이뤄진 페어링은 제작비용이 600만달러에 이른다. 팰컨9 로켓 총 발사비용 6200만달러의 약 10%다. 팰컨9 로켓 3개를 연결한 팰컨헤비의 발사비용 9천만달러에 견주면 약 7%에 해당하는 비용이다. 따라서 페어링을 회수하면 그만큼 로켓 발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스페이스엑스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는 페어링을 회수하는 이유에 대해 “공중에 떠다니는 6백만달러짜리 물건을 그냥 두고만 볼 것이냐”고 반문한 바 있다.

6월25일 팰컨 헤비 발사 장면. 팰컨9 3개를 연결한 로켓이다. 스페이스엑스 제공
스페이스엑스는 로켓에서 분리된 페어링이 그물배를 향해 낙하할 수 있도록 페어링에 낙하산과 소형 추진기, 자동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장착했다. 원래 이 그물배의 이름은 ‘미스터 스티븐'(Mr. Steven)이었으나 그물을 새로 교체한 뒤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회수한 페어링은 27일(현지시각) 커내버럴 항구에 도착해, 재활용이 가능한지 점검을 받고 있다. 스페이스엑스는 과거 2단 로켓도 회수하려는 계획을 세운 바 있으나, 기술적인 어려움 등으로 이를 시도하지는 않고 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곽노필의 미래창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